햄버거병 덜 익은 패티가 문제 검찰 수사 착수
햄버거병이 국내에서 발견되어 충격을 주고 있다.
햄버거병은 ‘용혈성요덕증후군’ 으로 일명 ‘햄버거병’ 으로 불리고 있다.
지난해 9월 당시 4살인 A양이 모 패스트푸드점의 햄버거를 먹은 후 신장장애 2등급 판정을 받았다.
하지만 해당 패스트푸드점은 ‘원인 불상’ 등의 이유로 책임이 없다고 밝혔다.
A양은 당시 패스트푸드점에서 판매 하는 햄버거를 먹고 복통과 구토 등의 증상을 호소해 병원으로 옮겨졌는데 햄버거병으로 불리는 용혈성요독증후군 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A양은 HUS로 신장 기능의 90%를 상실해 매일 8~10시간씩 복막 투석을 하고 있고 최근에는 건강보험공단에서 신장장애2급 판정을 받았다.
HUS(Hemolytic Uremic Syndrome) 는 주로 고기를 갈아서 덜 익혀 조리한 음식을 먹었을 때 발병하는데 미국에서는 1982년 햄버거에 의해 집단 발병한 사례가 보고 되었다.
햄버거병은 여름 바비큐 시즌에 많이 발병된다고 합니다. 때문에 바비큐시즌증후군 이라고도 하는데 여름철 바베큐를 완전히 익히지 않고 먹게 되면서 일어나기 때문이라고 한다.
햄버거병 증상으로는 심한 설사와 구토, 복부통증 과 미열 그리고 혈변을 보게 된다.
또한 독성물질이 배출돼 적혈구와 신장에 손상을 주는 용요혈성요독증후군이 나타날 경우에는 신부전, 빈혈, 장내출열을 일으켜서 심하면 생명에 위협을 주기도 한다.
해당 패스트푸드점은 “덜익다고 보기에는 패티가 최소 200도 이상 고온으로 조리가 되고 있다” 라며 “당시 고객 분이 같은 제품을 먹었다. 같은 제품이 300개 팔렸는데 같은 병이 없었다. 생산공정도 추적 검사했는데 유사한 사례가 없었다. 위생과에서도 점검했는데 의심할 만한 내용은 없었다”라고 해명했다.
한편 식약처에 따르면 평택시는 사건 발생 당시인 지난해 10월과 언론 보도를 통해 사건이 알려진 매장에서 위생 샅애와 조리상태 등을 조사 했지만 특별한 문제를 발견하지는 못했다 라고 전했다.
------- 170706P0342 추가 입력
검찰이 햄버거병에 사건에 대해 수사에 착수 했다.
서울 중앙지검은 피해자 측이 맥도날드 한국지사를 상대로 낸 고소 사건을 형사 2부로 배당 했다고 밝혔습니다.
형사 2부는 '가습기 살균제' 사건을 수사 한 부서로 이번 햄버거병 수사에 관심이 집중 되고 있습니다.
기존 설명 드린 것 과 같이 햄버거병은 주로 고기를 갈아서 덜 익혀 음식을 먹었을때 나타나는데요 미국에서는 집단 발병 사례가 있기도 합니다.
맥도날드 측은 이번 사안에 대해 아타깝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이뤄질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하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피해 어린이 어머니는 전날 오전 서울중앙지검 청사를 찾아 한국맥도날드를 식품위생법 위반 혐의 등으로 고소 했습니다.
1982년 미국 미시건주에서 햄버거를 먹은 아이들이 집단으로 이 증세를 보였는데요 후속 연구에 의하면 그 원인은 '0157 대장균' 이라고 밝혔습니다.